본문으로 바로가기
  1. Home
  2. 고민과 해결
  3. 성장판 닫히는 시기와 최종 키 예측 공식

성장판 닫히는 시기와 최종 키 예측 공식

· 댓글개 · 뚜로우
반응형

무릎의-성장판과-닫히는-시기
성장판과 키

성장기를 맞이하고 있는 아이들의 보호자들이 신경을 많이 쓰는 것 중에 하나인 키 '과연 우리 아이는 몇 센티까지 키가 자라는지', '성장판은 언제 닫히는지', 너무나 걱정이 되고 궁금할 수 있습니다.

 

성장판이 닫히는 시기와 최종 키 예측 공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 단, 반드시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내용은 아니니 참고 정도만 해주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. 

 

 

사춘기 이후 성장판이 닫히는 시기

- 일반적으로 사춘기의 신체 변화가 진행되면서 2~3년 정도 후 성장판이 닫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

 

예를 들어 남자라면 수염과 겨드랑이 등 체모가 짙어지거나 변성기가 오는 경우, 여자라면 가슴이 나오거나 생리가 시작하는 시기 등을 사춘기로 보며, 몇 년 후에는 성장판이 닫힌다고 알고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
 

즉, 이러한 일이 일어나고 몇 년 후에는 키크는게 멈출 수 있다는 것입니다. 아이에 따라 고등학생이 되기 전후의 시기에 키가 멈추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.

 

물론 사춘기의 시작은 개인차가 있으므로 나이가 차서 성장판이 닫혔다라고 단언은 할 수 없습니다. 또한 사춘기 이후에도 키가 성장하는 사람도 많기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.

 

 

성장판이 닫히는 증상신호

- 성장판이 닫히고 있다는 것을 몸의 신호를 통해서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. 다만 모두 의학적인 근거에 기초되는 것은 아니라, 어디까지나 개인의 견해(카더라)를 바탕으로 정보를 통합한 증상이니 참고 정도만 해주시면 됩니다.

 

1. 손톱 반달이 남아 있지 않다

- 손톱 반달은 손가락 관절에 보이는 반달 모양의 흰 부분입니다. 이 손톱 반달은 뼈의 성장에 관계가 있다 하여, 손톱 반달이 남아 있으면 더욱 성장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.

 

 

2. 수염이 짙어지는

- 남자의 경우 수염이 짙어지기 시작하면 성장판이 닫히고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이것은 신체의 성장이 '목젖이 나옴 -> 변성기 -> 수염이 짙어진다' 순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나온 말입니다.

 

수염이 짙어지고 있다는 것은 성장이 종반에 접어들고 있으며, 성장판이 닫히는 사인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최종 키 예측 공식

- 1년에 1cm 이상 키가 자라지 않다면, 최종 신장 단계로 들어갔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. 이 최종 신장은 대략적으로 예측이 가능합니다.

 

부모님 키에서 예측

- 계산식을 사용하면 부모의 신장에서 자녀의 최종 키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남자 (부모의 신장 합계 + 13) / 2+2
  • 여자 (부모의 신장 합계 - 13) / 2+2

 

 

골연령에 따라 예측

- 골연령 측정을 통한 예측은 주로 소아청소년과에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. 구체적으로는 엑스레이에서 뼈의 성숙 정도를 확인하고 아직 성장판이 닫히지 않았는지 확인을 합니다. 만약 골연령이 낮으면 아직 자랄 수 있고, 반대로 높으면 성장 가능성이 작아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 

현재 골연령을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tanner & white 방법과 greulich & pyle 이 있습니다.

 

  •  tanner & white (GP) 방법

- 왼쪽 손과 손목 사진을 연령별로 사진이 나열되어있는 GP도감과 대조하여 측정하는 방식, 다만 59년도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시기와 인종적인 차이로 부정확할 수 있다

 

  • greulich & pyle (TW) 방법

- 왼쪽 손과 손목사진을 찍은 후 7개의 수근골과 13개의 뼈 부위를 합쳐 20개 뼈 모양을 분석하여 등급에 따라 0~100점까지 골 성숙도를 파악하는 방법

 

  • AI 골연령 판독 시스템

- 3만 5천 개의 수골에 대해 영상 학습한 GP 도감에서 유사한 영상 1~3순위를 제안하여 결과를 조회하는 방법

 

 

반응형
SNS 공유하기
💬 댓글 개